모든 일에는 효율성이 중요하다. 전쟁 중에도 이 말은 유효한데, 이순신 장군이 28회의 전장에서 모두 승리로 이끌 수 있었던 이유도 효율적인 군사 운용 덕분이었다. 뛰어난 전략, 전술. 모두 효율적인 운용에 있다.



              이순신 장군의 학익진 전술은 한산도 대첩을 승리로 이끌었다.


태양전지, 효율성이 시장 지배의 관건

태양전지 시장도 마찬가지다. 전 지구에 평등하게 쏟아지는 태양빛 만큼이나, 태양에너지는 분산도가 높기 때문에 어떻게 이 거대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느냐가 태양광 발전의 핵심적인 문제이다. 대부분의 태양광 업체들의 기술개발의 핵심 목표가 개발비용 절감과 광전환효율 극대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을 보면, 광전환 효율이 얼마나 중요한 지 알 수 있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다결정 박막형 태양전지 분야에서 미국의 Miasole 사가 15.7%의 광전환 효율을 갖춘 태양전지 생산 기술을 획득함을 발표하여, 광전환 효율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또한 집광형 태양전지에서 보잉 또한 39.2%의 광전환 효율을 선보여, 기존 최고 기록이었던 38.5%를 넘어 세계 최고 효율의 집광형 태양전지를 선보였다. 앞으로도 기업들의 광전환 효율을 높이기 위한 태양전지 개발은 활기를 띌 것으로 전망된다.


효율적인 태양전지, 태양광 산업의 핵심


효율적인 태양전지를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열쇠는 당연히도 가능한 많은 양의 햇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것이다. 하지만 태양광 에너지의 스펙트럼에 따라 흡수되는 소재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100% 효율의 태양전지를 얻는 것은 어렵다. 예를 들어 햇빛 전체 스펙트럼은 약 0.5 eV에서 2.9 eV 범위에 위치함에 비해, 최고의 광전환 효율을 갖는 소재로 알려진 실리콘이 1.1eV 이상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광에너지 흡수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론적인 최대 효율은 45%이다.

              신성홀딩스 증평공장, 태양전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한창이다


국내업체로는 신성홀딩스가 광전환효율 분야에서 경쟁우위를 가지고 선두주자로 나서고 있다. 신성홀딩스는 올해 11월 10일, 19.6%의 광 변환효율을 갖춘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본 제품은 결정질 태양전지 분야에서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태양광 · 재생에너지연구소(UNSW)로부터 '세계 최고 광 변환효율' 인증을 받았다.

국내 주요 업체들이 17~18%의 광전환 효율을 가진 태양전지를 양산하는데 비해, 18% 효율의 태양전지를 양산하는 곳은 독일의 큐셀, 중국 선텍, 신성홀딩스 등 손에 꼽을 정도이다.

신성홀딩스가 태양광 효율을 높일 수 있었던 비결은 레이저 도핑 기술이다. 레이저 도핑을 활용하여 태양전지의 원판인 웨이퍼의 전극을 촘촘히 만들어 태양 광전환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현재 주요 업체들이 사용하는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사용하면 전극간 폭은 120 마이크로 미터 수준으로 만들 수 있는데 비하여, 레이저 도핑 방식을 이용하면 20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좁힐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효율의 태양전지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태양전지, 어떻게 만들어 졌을까?

Renewable Energy/Solar Energy 2010. 11. 21. 19:33 Posted by Green strategist
 
태양전지(PV; Photovoltaics)는 빛을 의미하는 'Photo'와 전기연구의 개척자인 Alessandro Volta(1745-1827)의 이름을 딴 Volt에서 유래한다. 이미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고, 차세대 주된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태양전지는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한마디로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장치를 태양전지(Solar Cell)라 정의한다. 휴대용 계산기와 손목시계는 간단한 태양전지를 이용한 대표적인 생활속 제품이며 신재생에너지 중 잠재적 성장 가능성이 가장 큰 태양전지는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태양전지는 Edmond Becquerel에 의해 처음으로 만들어 졌다고 한다. 19세기 경 어떤 물질이 햇빛에 노출되면 전기가 생산된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이에 태양전지라는 개념이 최초로 생겨 났다. 이전에는 태양열에너지의 집적효율을 높여 태양에너지를 활용하였으나, 태양의 빛 에너지를 활용한 새로운 태양 에너지의 활용가능성을 발견했다는데에 이 사건은 의미가 있었다. Heinrich Hertz는 셀레늄 같은 고체에 관한 연구를 통해 1~2%의 변환효율을 갖는 태양전지를 개발해내 광측정 장치로 사용하는 사진분야에 응용되었다.

이후 높은 순도를 갖는 결정실리콘(Crystalline Silicon)을 생산하기 위한 Czochralski 과정을 개발함에 따라,1940년대와 50년대는 태양전지 상용화의 중요한 시점이 되었다. 우주항공 분야의 에너지를 얻기위한 방안으로 태양광에너지가 각광을 받았으며, 최초의 결정형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은 4%로 기존 셀레늄 태양전지의 두배이상의 효율을 내며 태양전지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였다.

Vanguard 우주위성의 라디오 전원의 공급을 시작으로 태양전지 기술은 통신, 무기, 과학연구등 다양한 우주항공분야에 응용되었으며, 인공위성은 거의 모두 태양전지를 활용하여 동력원을 공급받고 있다.

                        International Space Station (NASA, 02/09/10)     
                International Space Station (NASA, 02/09/10) by NASA's Marshall Space Flight Center 저작자 표시비영리

컴퓨터, 트렌지스터 반도체 기술의 발달은 태양전지의 2차 부흥을 이끌었다. 태양전지와 반도체는 유사한 물리적 원리를 바탕으로 작동하므로 끊임없는 기술 교류로 꾸준히 기술이 발달하였다. 하지만, 1970년대까지는 고가의 태양전지 장비로 인하여 지구에서 상용화 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의 오일쇼크는 이 판도를 바꾸어버렸다. OPEC의 독과점 역량을 바탕으로 벌어진 오일쇼크는 에너지 문제의 심각성을 전 세계에 각성시키기에 충분하였고 이에 미국 연방정부, 산업체, 연구소 등에서 연구 개발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여 광전환 변환 효율을 7~17%까지 끌어올렸고 20년 이상 문제 없이 발전이 가능한 내구성을 지니도록 개발되었으며 가격또한 1/20수준으로 떨어뜨려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하지만, 태양전지의 가격은 타 에너지 생산수단에 비해 여전히 비싼 수준으로 앞으로  이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발전단가를 낮추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태양전지는 흥미롭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발전원리와 재료에 따른 태양전지 종류에 대해서 조사해 보도록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