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식 자본주의의 생산-사용-폐기의 사이클은 결정적으로 순환하지 못한다는 결점이 있다. 우리의 시간이 무한정하지 않듯이 끊임없이 만들고 쓰고 버리고 하는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남아나는 물건이 없을 것이다.

끊임없이 늘어나는 인구, 특히 미국식 자본주의를 지향하는 중산층들의 폭발적인 증가는 이러한 사이클을 생활방식으로 추구하는 머릿수를 늘리는 결과를 낳고 이에 우리는 아들세대에게 우리가 사는 추억이 쌓인 자연공간들을 쓰레기 더미로 가득찬 구제불능한 곳으로 물려주는 결과만 낳게 된다.




이대로라면 당신의 아이는 난장판 지구에서 살아갈 것이다.




이를 막기위해 생산-사용-재생산-사용의 순환적인 에너지 사이클을 고안한 것이 신재생에너지들이다. 이 중 가장 큰 규모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에너지원은 태양에너지다.



F&S에서 발행한 보고서에 실린 2001년부터 2008년까지 태양 전지 생산능력 변화추이를 나타낸 그래프다. 한눈에 봐도 알 수 있듯이 무서운 속도로 태양 전지 시장은 성장하고 있다. 특히 태양 전지 시장의 최대 호황기라 할 수 있는 2008년에는 전년 대비 100%에 가까운 기록적인 성장률을 보여주며 큰 폭으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개인적인 견해로는 현재와 같은 실리콘계 태양 전지의 지속적인 발전가능성에 높은 점수를 주긴 어려울 듯 하다. 이에는 3가지 이유가 있다.

1. 현재 실리콘계 태양 전지를 설치하여 발전을 하기 위하여 대규모의 설치 대지가 필요하다.
2. 순도높은 실리콘을 활용한 태양 전지 고효율화는 이미 한계에 다다랐다.
3. 대규모 전력 수송에 큰 약점을 가지고 있다.

사실 많은 언론매체와 관련 글들은 태양 전지의 밝은 미래와 성장성에 대해서만 논한다. 그들의 논리를 가만히 보면 이제까지 큰 폭으로 성장해왔고,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사회적 요구로 인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를 주된 논지로 삼고 글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결정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태양전지는 결코 석유에너지, 원자력에너지등 기존 에너지원을 대체할 수 없을 것이다.

나는 향후 기재할 글들에서 태양전지의 결정적인 단점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논하고 이를 해결한 새로운 태양전지의 모습들에 대하여 논해보고자 한다.


무한 성장의 태양광시대                                                                                        

반도체보다 큰 태양광시대 열린다
태양광의 시대다.  ‘제3회 그린오션포럼(Green Ocean Forum2010)’의 기조연설 중 강남훈 지식경제부 에너지기후
변화정책관은 “태양광 기술 개발 가속과 원료 및 소재 가격 하락으로 인해 향후 5년 정도면 그리드패리티에 진입하게 될 것이라 분석했다. 그리드패리티란 태양광 및 풍력등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되는 발전 단가가 화석연료로 생산되는
발전단가에 비교해 가격 경쟁력을 획득하는 것을 말한다.



태양광산업의 성장에 있어 가격경쟁력은 필수적인 요소다. 유럽 태양광모듈 생산 기업에 비해 중국 기업들이 후발
주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뒤집고 크게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도 저렴한 노동력, 생산단가를 이용하여 가격경쟁력
을 획득하였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태양광 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은 당분간 주요 경쟁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LG경제연구원의 '미국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잠재력 점검' 보고서에서의 분석에 따르면, 태양에너지의 발전단가가 kWh당 18센트 내외로 화석연료나 기타 신재생에너지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이슈가 있다.

새로운 태양광 시대 준비해야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새 희망
하지만 강남훈 장관의 분석대로 태양광 에너지가 그리드 패리티에 도달하게 된다면, 가격이외의 요소가 주요 경쟁 요소로 떠오를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넓은 면적에서 생산할 수 밖에 없는 태양광에너지의 한계를 역으로 이용하여염료감응형 태양전지처럼 넓은 면적에 다양한 디자인을 활용하여 태양광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거나 태양광 에너지 송전 관리 시스템과 같은 생산 외적인 요소가 주요 경쟁요소로 떠오를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새 희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태양광 발전은 태생적으로 대규모 발전을 위해서는 그만큼 큰 면적의 발전용지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주거면적도 부족한 한국의 특성상, 그게 아니더라도 꾸준히 증가하는 인구증가를 고려할 때, 발전용지를 줄이고 대량의 발전이 가능한 새로운 태양광 에너지 발전방식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이때 유용한 발전방식이 염료감응 태양전지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쉽게 말해 페인트 같은 형태로 제작 되어 칠하기만 하면 태양 전지가 될 수 있는 활용도가 높은 태양전지다. 아직 송전문제도, 발전효율 문제도 해결된 상황은 아니지만 무한한 발전가능성을 갖고 있는 태양전지라 생각한다. 앞으로 태양광 시장을 분석할 때 빼 놓을 수 없는 태양전지 분야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슈퍼스타K] 장재인, 그리고 대중성

Insight of sociaty 2010. 10. 16. 21:21 Posted by Green strategist



장재인, 나도 처음 그녀의 목소리를 들었을 때, 어쩔 수 없는 그녀의 매력에 매료되었다. 자우림의 김윤아를 닮은듯한 보이스에 사람들을 끌어당기는 언어로 표현안되는 민감한
부분을 섬세하게 표현해내는 표현력. 나에게 있어 그녀는 완벽한 가수였다.

우승할 줄 알았다. 아니  그렇게 믿었다. 하지만 그녀는 결국 준결승전에서 떨어졌다.
어제 생방송은 적잖은 충격이었다. 그래.... 포퓰리즘이 그런거지 하고 나 자신을 합리화했다.



사람에게는 누구나 아픈 과거가 있는 법이다. 인터넷을 뒤적거리다가 슈퍼스타K가 개인
과거사를 이용하여 시청률을 높인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었던 것 같은데 사실 나는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예전에 카네기 리더십 강좌를 수강할 당시 각자 가장 아픈 과거를 당당히 말하는 과정이 있었는데, 평소에 그렇게 밝아보이던 사람들이 모두 남들에게는 말 못할 슬픈과거가 하나씩 있었다. 그것도 부모님의 죽음이나 이혼, 장애 등 모두 가슴아린 과거가 있었다. 그런 점을 방송에서 당사자가 말을 한 것은 본인의 내면속에 간직한
트라우마를 이해하고 노래를 듣는 것이기에 좀 더 와닿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엠넷이 참가자들에게 개인사를 공개하기를 강요했다면 큰 문제가 되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국민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켜 준 것이기에 크게 문제삼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포퓰리즘에 대해서는 좀 더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다. 물론 사람마다 다양한
가치기준이 있겠지만, 대중의 스타에 대한 가치기준은 2~3개로 요약된다

외모, 노래실력, 센스

물론 이러한 가치들의 경중을 따지는 것은 개인의 몫이겠지만, 숨어있는 끼와 재능을
가진 스타가 될 자질을 지녔지만 이제까지 기회가 주어지지 않아 꿈을 이루지 못한
이에게 꿈을 이룰 기회를 준다는 슈퍼스타K의 본질적인 목적을 볼 때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가치는 노래실력이라 생각한다.

노래실력이라는 것도 다양한 평가기준이 있으며 주관적일 수 밖에 없는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분명 이번 무대에서 대다수가, 그리고 전문가들도 합격자 존 박보다 탈락자
장재인이 더 노래를 잘 불렀다는 글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존 박의 선곡 문제도
있겠지만, 또 개인적인 선호도 문제도 있겠지만, 나는 장재인이 더 노래를 잘 불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대중성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외모와 센스는 노래실력을 덮어버릴 만큼 컸다. 사실 포퓰리즘의 가장 큰 문제는 집단의 지성이 융합되어 특정 개인보다 뛰어난 집단지성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명증한 판단기준에 따라 현명한 판단력을 갖는 대신 집단적 중우주의에 빠지는 것이다. 대중성은 그래서 항상 예술성 면에 도전을 받는 것 같다.

결론은 대중성을 확보하고 국민의 의견을 반영하겠다는 대국민 문자투표가 훌륭한 연예인을 뽑는데 가장 효과적인 슈퍼스타 선발전략일지는 몰라도 뛰어난 아티스트를 선발하는 기준은 아니라 생각한다는 것이다. 다음 시즌3에서는 좀 더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들고 나와 뛰어난 가수들이 많이 탄생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록펠러 제단, 록펠러 센터....... 누구인지 정확하게 모르는
이들이 많지만 우리 삶속에 깊숙히 스며든 록펠러.
그의 부를 축적한 결정적인 요인이었던 석유처럼
우리 삶속에 수많은 소요들에 스며들어 있지만
정작 제대로 알지는 못하는 그런 사람인 것 같다.

400조원의 개인 재산을 보유했던 록펠러는 인류 역사상
최고의 부자이자 에너지 역사의 제왕이었다. 그는
석유를 검은 물에서 황금으로 만든 오늘날 세계 석유시장을
만들어 낸 데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 중 하나였다.

에드윈 드레이크가 처음으로 석유시추법을 개발한 이후,
미국에는 수많은 원유 채굴회사들이 난립하여 경쟁이 극심
하여 이미 레드오션인 시장이었다.

1870년 미국 클리블랜드에 스탠더드 오일(Standard Oil)을
설립한 록펠러는 격렬한 경쟁이 오히려 시장 상황을 악화
시키고 있으며 석유사업의 핵심은 원유 시추에 있는 것이

아니라 원유를 정제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석유 정제 과정이 사업의 핵심이라
판단했다.
이에 록펠러는 원활한 석유 수급을 통한 대량의 석유 정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美 주요 철도사와 석유
운송 사업을 보장해 주는 대가로 원유 운송비를 할인 받는 계약을 맺고 사업을 확장해 나갔다. 송유관이 없었던
당시에는 이러한 운송권의 독점은 우선 첫째로, 석유 정제 과정에 필요한 원활한 석유 수급을 가능케 해주었고
두번째로 타 경쟁사에서 석유 수송을 목적으로 철도를 이용할 시 석유 수송에 관한 독점 계약권을 확보한 상황
이므로, 경쟁사의 수익성을 잠식하여 차후 인수합병 과정에서 유리한 고지에 설 수 있게 해주었다. 마지막으로
자 계열사로 편입 시 동일한 수송 시스템을 운용하면 되므로 적대적M&A 임에도 불구하고 원만하게 모기업과
인수합병을 할 수 있었다. 

그가 성공할 수 있었던 핵심요인은 소비자들의 효용가치를 극대화하고 수익성을 확대할 수 있는 
석유정제기법에 초점을 잡아 석유산업의 독점권을 획득했다는데 있다. 
남들의 경쟁포인트에 초점을
맞추고 그보다 더 잘하기 위해서가 아닌 새로운 시장의 패러다임을 만들어낸 시장 창조자(Market Creator)
였기 때문에 그와 같은 성공을 할 수 있었다. 현재 신재생에너지를 향한 새로운 그린 러쉬(Green rush)는 모두
석유대비 비용 절감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아닌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아야 할 때라 생각한다.

모두의 경쟁포인트에 초점을 맞추지 말고 그 이상 사회 효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가치혁신(Value
Innovation)에 포커스를 두고 새로운 녹색 혁명을 준비할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

[LG경제연구원] '동형화'틀로 본 성공 전략

Business strategy 2010. 9. 28. 16:58 Posted by Green strategist
1. 보고서 개요

□ 동형화(Isomorphism)

최근 미국 최고 경영자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경쟁자와 차별화된 전략이 없음을 솔직히 인정한 비율이
70%
였다고 한다.

그렇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과감한 투자, 고령화 시대에 대비하여 헬스케어 산업에서 신성장 동력확보
모두 타기업들에서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전략들이다.이러한 동형화 전략은 크게 3가지 동인에서 발견된다

                                     우리는 어쩌면 다르다는 것 자체에 불안을 느끼는 건 아닐까?




○ 강압적 동형화

 첫번째로, 법규나 규제, 또는 시장에서 등장한 표준으로 인한 강압적 동형화가 있다.
온실가스 배출 제한에 전세계적 합의를 한 교토의정서에 의해 환경,그린에너지 산업이 대표적 케이스이다.

○ 모방적 동형화

 두번째로, 인간의 심리적 동조화 현상, 설득의 용의성 등에 의해 타 기업을 모방하는 모방적 동형화가 있다.
타인이 우수하다고 여기는 가치를 모방함으로써 이를 통해 심리적 만족감을 얻고 '최소한' 뒤쳐지지는 않는다.

○ 규범적 동형화

 마지막으로, 마땅히 그러해야 한다는 사회 규범적 가치, 말하자면 칼 구스타프 융이 말한 집단 무의식에 의한
동형화인 규범적 동형화이다. 세가지 동인중 가장 강력한 동인이다.


동형화 기업들의 성과차이의 원인

이렇게 기업활동이 서로 간 유사하다면 성과차이는 왜 일어나는 것인가?

기업간 철학, 문화, 행동규범과 같은 기업의 소프트웨어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또한 상징적 동형화로 인한 실패도 있는데 앞의 세가지 동인에 의하여 근본적인 동형화를 이끌어 내지 못하고
겉으로 동참하는 시늉만 한 기업의 경우 사회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실패한 기업이 된다.

Freeman의 연구에 의하면, 오래되고 큰 조직은 환경에 적응하기 보다는 오히려 동형화를 유도하여 환경을
지배하기까지 한다고 한다.


동형화를 통한 성공전략


본 보고서에서는 21세기 이후 IT혁명으로 인한 SNS의 발달로 사회 조직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더욱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동형화 또한 더욱 확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더 많은 조직에서 더 빨리 더 넓게
동형화가 이루어 질 것이다. 하지만 이를 조금만 다른 시각에서 보면 경영환경이 급속도로 변하면서 더 빠르게
변화하는 동형화에 적응하기가 점점 힘들어 지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산업환경에서 최고의 기업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재빠른 2등전략인 Fast Second 전략
핵심이다. 사회적 표준이 될 만한 것을 타 기업보다 빨리 인식하고 경영활동을 최적화 하고 타 기업의 동형화를
이끌어 내는 기업이 시장의 지배자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핵심은 사회적 변화의 움직임을 빨리 포착하고
패러다임의 변화에서 표준을 획득하는 것이다.


외부환경의 끊임없는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 혁신할 수 있는 조직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결국 핵심이다.
오랜기간 장수하는 기업들 중 상당수는 자사 핵심 사업포트폴리오를 전면적으로 전환한 경험이 있었다.
이는 외부 경영환경에 적극 대응하고 대처하는 프로세스가 구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각화된 경영 활동을 통해 사업 추진이 원만하게 이루어 지는 사업의 경우 적극 투자, 경영하고
이외산업은 매각, 철수함으로써 진화론적 DNA를 기업에 심어 기업을 운영하는 경영기법을 활용하였다.




자연은 끊임없이 다양한 생물을 탄생시키고 소멸하는 에코시스템을 갖고 있다.


결론적으로, 환경의 변화에 적극 대처하고, 재빨리 변화의 양상을 캐치하여 산업의 표준을 획득하는
기업이  새로운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 My Thought

○ 환경에 적극 대처 및 변화는 맞지만 중요한 건 자사의 전략을 표준화 하는 것

·
외부 환경 변화에 우선하여, 자사의 혁신 전략을 추진하고 이를 산업계의 표준으로 만드는 전략이 최우선화
· 본 보고서의 내용도 결국 자사의 제품을 표준으로 만들어 시장을 독점하는 전략을 중점으로 논하고 있음
· 따라서, 가치혁신을 통해 자사의 제품 및 서비스를 업계의 표준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

○ 사업 패러다임의 변화는 옳으나 기업의 핵심가치까지 변하지는 않아야

·
사업구조의 전면적 개편은 기업 상황을 볼때 옳을 수 있는 선택이나, 기업 핵심가치가 변하면
기업의 중심이 흔들려 변화만을 추종하는 주체성 없는 기업이 될 가능성이 높음

· 기업의 중심적인 핵심가치를 선정하고 이에 맞게 효과적으로 변화를 꾀하는 것이 옳은 선택


Green is green

Renewable Energy/coluum of Green business 2010. 9. 26. 19:51 Posted by Green strategist

제프리 이멜트 GE 회장은 GE의 친환경 경영전략인 Ecomagination을 기업의 선두에 내세움과 동시에
이 명언을 남겼다.

Green is green

결국 Green 산업을 추구하는 것이 돈이 되고 수익이 되기 때문에 회사의 비전으로 세우고
기업 전략의 선두로 내세웠다는 의미이다.

제프리 이멜트(Jeffrey Robert Immelt) 상세보기


결국 녹색과 신재생에너지, 환경보호와 기후변화의 주제들은 모두 돈이되고 수익으로 연결되니
전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주목받는다는 것이다.

혹자는 이를 불순한 의도라 비판할 수도 있겠지만 전반적인 사회 가치를 높일 수 있다면 나쁘지 않다고
나는 생각한다. 다만, 초점이 Green 보다 green에 초점이 옮겨가고 있는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나는 녹색혁신은 근본적인 사회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가치혁신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 포커스가 맞춰져있는 단위 와트당 전력생산 비용 등은 모두 green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수직계열화와 기술발전은 아직 산업혁명 당시의 2차원적인 사고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기업의 이익추구는 결국 사회적 가치의 증진을 위한 1차적 목표일 뿐 궁극적 목표가 아니라는 내 기업철학의
영향인지는 모르지만(철학이라 부르기도 낯뜨겁다) 좀 더 근본적인 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녹색 산업은 각국 정부 및 이해관계자들, 석유 카르텔과 수입국, 전지구적인 숭고한 목표와 돈등 다양한 가치가
얽혀있는 복잡다단한 문제다.